중국인 단체 관광 허용
2017년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 관광 비자 발급을 중단한지 6년이 된 2023년,
코로나 이후에도 한국으로의 단체 관광 허용을 풀지 않았는데,
오늘에서도 한국으로의 중국인 단체 관광을 허용한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사실,
'차화정'시절, 아모레퍼시픽이 하늘 저 높은 곳에 있던 시절,
중국에서의 한국 제품 인기는 하늘을 치솟았었고,
중국인들의 한국 여행 수요도 엄청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사실 명동을 가면 이게 한국인지 중국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였습니다.
그렇게 한국 관광 외국인의 거의 50%를 차지하던 중국인의 비율이
사드와 관련된 상황을 기점으로 계속감소하고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비율은 7%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늘의 중국 정부의 중국인 한국 단체관광 허용 발표는
앞으로 어떤 엄청난 파급 효과를 낼지 가늠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사실,
중국인들의 소비는 내수를 기준으로 봤을 때는,
매우 침체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예전 차화정 시절 lg생건 및 아모레 등
하늘을 날아다니던 시절
중국 내에서의 소비도 엄청난 수준으로 유지가 되었기에
그에 따른 실적도 뒷받침 되면서
시가총액도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렸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고무적인 상황 속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여러가지 부정적인 상황들 속에서도
서비스 수요 및 여행 관련 수요가 상승세를 그리고 있지만,
중국 내에서의
2030세대의 엄청난 실업률과 함께,
중국 GDP의 30%가량을 차지하는 부동산 경기 침체,
이로 인한 미래 경기 불확실성을 염려하는 중국인들의 소비 수요 하락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 지금 중국인들이 돈이 없어서 못쓰는 상황은 아닌 것같습니다.
약 8800조에 달하는 예금성 자산을 고려했을 때,
소비 여력의 부족이라기보다는
미래의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
수요를 억누르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지는 상태이고,
여전히 쓸 사람들은 계속해서 소비를 하고 있다는 것을
LVMH의 매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VMH가 발표한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큰 매출 성장을 보인 곳은 일본인데,
일본으로의 중국인 여행객의 폭발적인 수요로 인하여
매출 성장을 보인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이 엔저와 함께 일어난 것을 고려했을 때,
한국에서도 똑같이 재현되기는 어려울 수 있겠지만,
그래도 희망적으로 보자면,
현재 시장의 시각으로 판단했을 때,
한국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소비'를 하면서 여행을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한국 증시는 격렬하게 반응한 하루였습니다.
한국 증시 반응
사실,
한동안 이차전지 초전도체 관련하여
시장의 이목이 주목된 상황이었습니다.
여기에,
오늘 중국의 발표가 있자마자,
에코프로의 주가 변동급은 아니더라도,
엄청난 수준의 변동성을 보이는 하루가 되었습니다.
호텔, 면세점, 카지노, 여행, 화장품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행객과 매출이 연결될 수 있는
거의 모든 업종의 주가가 엄청난 수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승세가 계속될지는 아직은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아직,
'매출'과 '실적'으로 입증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장의 기대'가 주된 상승 이유입니다.
하지만, 분명 뜬구름 잡는 소리가 아니라,
일리가 있는 기대가 될 수 있기에
현재 움직임은 어느 정도 납득이 가긴 하는데,
앞으로의 매출과 실적을 고려하면서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오늘 소식을 빠르게 접하고 '단타'로 치고빠지는 경우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 어느 정도 스윙이나 기간을 두고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러한 발표에 따른 실제 효과도 고려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발표와 관련하여 한국 증시의 반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화장품 관련하여
엘지생건 13%
마녀공장 29%
토니모리 29%
뷰티스킨 30%
여행관련
노랑풍선 17%
하나투어 10%
호텔, 면세점
호텔신라 17%
현대백화점 15%
신세계 9%
카지노 관련
롯데관광개발 29%
파라다이스 18%
등으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주식과 비교했을 때는,,
폭등급의 변동성을 보인 하루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주식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오늘의 움직임은 요즘의 움직임의 폭을 고려했을 때,
불가능한 움직임은 아니었다고 보여집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오늘 하루 치고빠지는 경우에는 좋은 기억으로 남을 하루겠지만,
어느 정도 기간을 두고 투자하실 분들은,
반드시
오늘의 발표와 함께,
실제 이 기업들의 매출과 실적이 뒷받침되는지
꼭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 될 것같습니다.
오랜만에 코스피 코스닥에 무게감 있는 호재가 발표되었는데,
앞으로 실제로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블로그 다른 글도 참고하셔서
투자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2023.08.04 - [current issue/Daily] - 국제 유가 상승과 사우디 및 러시아 감산
2023.08.07 - [current issue/Daily] - 미국 국채 관련 상황
2023.08.10 - [환율/엔화(일본)] - 엔화 환율(미국 CPI와의 관계)
2023.07.13 - [환율/달러(미국)] - 달러 전망 미국 환율 하락 미국 증시 급등
2023.07.10 - [환율/엔화(일본)] - 엔화 환율 일시적 상승 일본 엔화
2023.07.11 - [환율] - 달러 엔화 환율 상승 달러 지수 하락
2023.07.12 - [환율/달러(미국)] - 달러 환율 하락 1200원대 금리 인상 이후 전망
2023.07.02 - [용어] - 주식 투자 용어 완전 정복 유상증자 무상증자 완벽정리
2023.06.30 - [미국증시/증시 이슈] - 미국 증시 상황 미국 GDP 상승률 2%
2023.06.29 - [current issue/Daily] - 미국 달러 환율 상승 및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
2023.06.29 - [환율/엔화(일본)] - 일본 엔화 환율 지속 하락
2023.06.28 - [current issue/Daily] - 미국 증시 상승 채권 투자 손실
2023.06.28 - [환율/위안화(중국)] - 달러 환율 중국 환율
2023.06.24 - [환율/동남아 국가(태국, 베트남 등)] - 베트남 환전 환율 계산, 환율 변동, 물가 계산 팁
2023.06.23 - [환율/동남아 국가(태국, 베트남 등)] - 태국 환전 필수 지식 바트 환전
2023.06.22 - [환율/엔화(일본)] - 일본 임금 인상 의미와 엔화 환율 전망
2023.06.20 - [환율/엔화(일본)] - 연중 최저점 엔화 환율 투자 전망
'current issue >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기준금리와 가계 부채 (1) | 2023.10.25 |
---|---|
미국 국채 관련 상황 (0) | 2023.08.07 |
국제 유가 상승과 사우디 및 러시아 감산 (0) | 2023.08.04 |
청년도약계좌 신청 대상 심사결과 승인 (0) | 2023.07.07 |
미국 달러 환율 상승 및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