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원 환율

달러/원 환율은 1200원 아래로 갈 듯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다,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환율은 1100원대, 뭔 일이 있으면 1200을 뚫고 올라가는 모습인데,

아직은 호락호락하게 1200대 아래로 가기까지는 갈 길이 먼 것같습니다.

 

한동안 특별한 이슈 없이 원화 강세와 함께 달러/원 환율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우크라이나 긴장 고조와 불안정한 지정학적 요인들,

일본의 완화정책 지속 유지에 대한 시장의 예상,

이번 주 다가오고 있는 연준의 회의 등으로 인해서

다시금 달러 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달러지수 움직임

달러/원 환율 상승은 원화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것일 수도, 달러의 가치 상승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는데,

현재의 움직임은, '달러'의 가치 상승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달러 지수의 움직임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요즘 보이고 있는 이러한 움직임은,

어떤 크리티컬한 이벤트에 의한 움직이라기보다는,

시장의 심리 또는 수급에 의한 영향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0~5.25%인 상황인데,

이번 26~27일 회의를 마치고 거의 기정 사실처럼 여겨지고 있는 0.25%인상을 하게 되면,
5.25~5.5%로 오르게 되는데,

이는 2001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시장에서 현재 받아들이고 있는 사항에 있어서도,

실제로 금리 인상이 다가오고, 심지어 금리 인상이 예상대로 되고 나서도,

시장의 반응은 전혀 생각지 못한 방향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환율을 고려할 때, 가장 큰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한미 기준금리 차이'를 보면,

환율 상승이 오히려 더 당연한 상황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의 반도체 산업 전반에서의 턴어라운드와 함께,

한국 무역수지 흑자의 추세적 상승이 함께하고,

그 외 상황에서도 환율의 긍정적 요인으로 이어지면서 원화 가치 상승에 따른 환율 하락이 이어질 수 있으나,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의 금리가 2.0%가 높은 상황은,

쉽사리 넘어서기 힘든 환율 결정 요소로 봐야하는 것이 맞는 것같습니다.

 

달러 지수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한국 원화는 별 영향이 없기 때문에,

달러지수를 '달러의 절대적 가치'라고 생각해도 크게 무방할 것같습니다.

 

엔화, 유로화 등의 몇개 통화에 대해서 달러의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인데,

몇가지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이를 대체할 만한 정확한 달러의 절대가치 측정 지표는 없기 때문에,

달러지수 확인을 통해 달러의 절대적 가치 변화 등을 확인 하는 것이

그나마 객관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 관련 주요 이슈

최근 미국에서는 연착륙 여부와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똑같은 지표를 보고서도,

서로 다른 해석들을 내놓기 때문에,

당연히 답은 없을 수밖에요.

 

또한,

'경기 침체'라는 것이

'시점 또는 지점'으로 표시될 수도 없는 것이기에,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고,

시장에서 생각하는 바를 잘 따라가면서

스스로 해석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바를 참고해야

그 시장에서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수월하니까요.

 

7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은 기정 사실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현재 기준으로는 추가 금리 인상 기대는 18%정도인 상황입니다.

대부분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일부에서는 각종 문제들로 인해서 '금리 인하'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가시적인 지표가 발표되거나,

충격적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한,

 

연준의 입장으로 생각해보면,

아직은 금리 인하는 한참 먼 얘기라고 할 수 있을 것같습니다.

 

물가도 목표치인 2%에 이르려면 한참 남았으며,

실제로 그 물가에 도달했다 해도,

어느 정도 추세적인 움직임을 확인하길 원하기 때문에,

다음 회의 또는 이번 년도 안에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시장에 충격적인 이벤트가 있지 않은 이상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인플레이션 둔화가 지속되고 있지만,

고용과 소비는 여전한 상태고,

이로인해서 언제라도 물가가 튈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 인하 유인은 부족한 상황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시다시피,

그동안 미국 정부에서 뿌린 돈에 더해서,

여전히 강한 고용과 함께 임금 인상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 인하 유인은 어렵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금리 관련 이슈

현재 고금리로 인해서 주요 언론에 이슈가 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계속해서 미국에서 파산하는 기업은 증가하고 있으며,

상업용 부동산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리츠의 실적도 부진하며,

금융권 위기도 완전히 진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 했을 때는, 연준도 충분히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겠으나,

 

하반기 유가 상승 및 이로 인한 물가 상승 우려

강한 고용과 임금인상률 지속 유지에 따른 소비 증가와 물가 재상승

전고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미국 증시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고려했을 때,

연준에서도 계속해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연준의 움직임을 만들어 낼 만큼 커다란 이벤트가 없이는,

금리인상 및 동결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며,

계속해서 물가 둔화와 고용 및 임금상승, 그리고 경기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같습니다.

 

전망

이번주는 '금리인상'은 이미 거의 정해져있는 상황이지만,

현재 이러한 상황 전개에 있어서,

연준 회의 결과와 함께 연준 의장의 '발언'이 중요한 상황입니다.

 

연준 의장의 '발언'에 따라서 시장의 반응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힘을 쓰지 못하는 상황과 함께,

일본 또한 초저금리 완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달러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계속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추세적 달러 약세로 진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됩니다.

 

작은 움직임 속에서 상승과 하락은 수급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1100원대로 내려가거나 1400원 이상으로 올라가려면,

'충격'과 관련된 이벤트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이벤트에 대해서

미국 정부와 연준, 그리고 시장의 반응에 대해서

계속해서 예의주시하면서 빠른 대응을 하는 것이 유일한 정답이라고 생각됩니다.

 

연준 금리 인상 발표 및 이에 대해서 다음번 글에서 또 자세히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상황에 대해서도 다른 글을 읽어보시면서 앞으로 흐름을 읽으시는 데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2023.07.13 - [환율/달러(미국)] - 달러 전망 미국 환율 하락 미국 증시 급등

2023.07.10 - [환율/엔화(일본)] - 엔화 환율 일시적 상승 일본 엔화

2023.07.11 - [환율] - 달러 엔화 환율 상승 달러 지수 하락

2023.07.12 - [환율/달러(미국)] - 달러 환율 하락 1200원대 금리 인상 이후 전망

2023.07.02 - [용어] - 주식 투자 용어 완전 정복 유상증자 무상증자 완벽정리

2023.06.30 - [미국증시/증시 이슈] - 미국 증시 상황 미국 GDP 상승률 2%

2023.06.29 - [current issue/Daily] - 미국 달러 환율 상승 및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

2023.06.29 - [환율/엔화(일본)] - 일본 엔화 환율 지속 하락

2023.06.28 - [current issue/Daily] - 미국 증시 상승 채권 투자 손실

2023.06.28 - [환율/위안화(중국)] - 달러 환율 중국 환율

2023.06.24 - [환율/동남아 국가(태국, 베트남 등)] - 베트남 환전 환율 계산, 환율 변동, 물가 계산 팁

2023.06.23 - [환율/동남아 국가(태국, 베트남 등)] - 태국 환전 필수 지식 바트 환전

2023.06.22 - [환율/엔화(일본)] - 일본 임금 인상 의미와 엔화 환율 전망

2023.06.20 - [환율/엔화(일본)] - 연중 최저점 엔화 환율 투자 전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