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기준, 스위스 프랑(CHF)은 안전자산 수요 증가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원화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CHF/KRW 환율 동향, 상승 배경, 전문가 전망, 투자·환전 전략 및 환율 전망을 심층 분석합니다.
1. 서론: 스위스 프랑의 안전자산 위상
2025년 4월 현재, 스위스 프랑은 글로벌 외환 시장에서 대표적 안전자산(safe haven) 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 원화(KRW)에 대한 스위스 프랑 환율은 4월 14일 기준 1 CHF = 1,747.89 KRW를 기록하며 최근 몇 개월간 6.3%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revolut.
- 90일 최고치: 1,770.45 KRW (4월 11일)
- 90일 최저치: 1,575.33 KRW (1월 하순)
- 90일 평균: 1,625.08 KRW
이 글에서는
- 최근 CHF/KRW 환율 동향
- 강세 배경
- 월별 변동 분석
- 단기·중장기 전망
- 투자·환전 전략
-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
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2. 최근 CHF/KRW 환율 동향
2.1 2025년 1분기–4월 중순 추이
2025년 1월 하순 | 1,575.33 KRW | – |
2025년 2월 평균 | 1,600 KRW | +1.6% |
2025년 3월 평균 | 1,660 KRW | +3.8% |
2025년 4월 11일 | 1,770.45 KRW | +6.3% |
2025년 4월 14일 | 1,747.89 KRW | +5.9% revolut |
- 1월 하순 최저점(1,575.33 KRW) 이후 꾸준한 상승
- 3월 말–4월 초 급등 구간(약 5% 이상)
- 4월 중순 1,740–1,770 KRW 박스권에서 등락
2.2 4월 1주차 일별 변동
4월 7일 | 1,712 | 1,703 | 1,707 |
4월 8일 | 1,757 | 1,727 | 1,733 |
4월 9일 | 1,691 | 1,721 | 1,734 |
4월 10일 | 1,764 | 1,733 | 1,734 |
4월 11일 | 1,770 | 1,744 | 1,768 |
4월 12일 | 1,742 | 1,742 | 1,778 |
4월 13일 | 1,748 | 1,740 | 1,755 |
- 4월 8–11일 사이 큰 폭 상승
- 이후 12–13일 소폭 조정
3. 스위스 프랑 강세의 3대 배경
3.1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수요
-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관세 부과 예고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에너지 가격 불안 → 안전자산 선호
- 중동 지정학 리스크: 이란·이스라엘 갈등 우려
결론: 불확실성이 클수록 CHF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3.2 스위스 중앙은행(SNB)의 통화 정책
- 긴축 기조 유지: 글로벌 금리 인하 국면 속에서도 기준금리를 상대적으로 높은 1.5% 수준 유지
- 외환시장 개입 최소화: 강한 프랑에 개입을 자제하며 통화 가치를 방어
결론: 타국 중앙은행 완화 대비 SNB의 견고한 스탠스가 CHF 강세를 뒷받침합니다.
3.3 한국 원화 약세 요인
- 무역수지 적자 확대: 에너지·원자재 수입 증가 → 원화 수요 감소
- 반도체 업황 둔화: 한국 수출 주력 산업의 회복 지연
- 한미 금리 격차 확대: 한국은행 금리(3.25%) vs Fed 금리(5.50%)
결론: 원화 약세가 CHF/KRW 환율 상승을 가속화했습니다.
4. 월별 환율 변동 분석
4.1 1월–4월 주요 변곡점
- 1월 24일: 1,575.33 KRW (2025년 최저)
- 3월 초: 1,600 KRW 돌파 후 상승 가속
- 4월 10일: 1,766.15 KRW (90일 최고치 근접)
4.2 변곡점과 연계된 이벤트
1월 24일 | 미중 관세 협상 교착, 지정학 리스크 고조 |
3월 초 | Fed 금리 인하 기대 확산, SNB 긴축 재확인 |
4월 10일 | 미국 관세 유예 발표, 글로벌 주식 시장 급락 후 안전자산 선호 |
5. CHF/KRW 단기·중장기 전망
5.1 단기 전망 (2025년 2분기)
- CoinCodex 예측: 1,866.16 KRW까지 상승 가능 (현재 대비 +6.8%)
- 기술 지표:
- 50일 이동평균선: 1,659.64 KRW
- 200일 이동평균선: 1,610.34 KRW
- RSI(14일): 59.26 (과매수 전 단계)
결론: 단기적으로 강세 지속, 1,800 KRW 돌파 시 추가 상승 여력
5.2 중장기 전망 (2025년 말~2027년)
- WalletInvestor:
- 2025년 말: 1,680 KRW (현재 대비 +5.5%)
- 2026년 말: 1,800 KRW 돌파 예상
- 2027년 말: 1,868 KRW까지 상승 전망
전제 조건: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 SNB 정책 기조 유지
6. 투자·환전 전략
6.1 개인 환전 전략
- 분할 환전
- 1,700 KRW 이하: 30% 환전
- 1,740 KRW 이하: 40% 환전
- 1,780 KRW 이하: 30% 환전
- 수수료 절감
- 토스·카카오뱅크 우대환율 플랫폼 이용
- 카드·현금 병행
- 50% 현금 + 50% 0% 수수료 신용카드
6.2 외환 투자자 전략
- 스팟 매매: 1,700 KRW 이하 매수, 1,800 KRW 목표 매도
- 선물환 헤지: 6개월물 CHF/KRW 계약 50% 비중
7. 안전자산으로서의 스위스 프랑
7.1 역사적 안정성
- 정치적 중립성: 국제 분쟁 중립으로 금융 위기 때도 가치 안정
- 재정 건전성: 낮은 국가 부채 비율, 견고한 재정 정책
- 금융 허브: 강력한 금융 시스템과 규제
7.2 위기 시 행동 패턴
- 위기 초기: 안전자산 선호로 CHF 급등
- 중반: SNB 개입으로 급등세 제한
- 회복: 완만한 조정 후 안정화
현재 단계: 위기 초기 국면, SNB 정책 대응 여부가 향후 변곡점
8. 결론
2025년 4월 스위스 프랑 환율은 1 CHF ≈ 1,748 KRW로, 글로벌 불확실성과 중앙은행 정책 차별화, 원화 약세가 맞물려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단기: 1,800 KRW 돌파 가능성
- 중장기: 2027년 1,868 KRW까지 상승 전망
투자자는 분할 매수·매도와 헤지 전략을, 기업은 선물환·옵션 헤지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스위스 프랑은 여전히 가치 저장과 위기 대응의 핵심 자산이므로,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단으로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핵심 요약
- CHF/KRW 4월 14일 1,747.89 KRW
- 강세 배경: 글로벌 불확실성, SNB 긴축, 원화 약세
- 전망: 단기 1,800 KRW, 중장기 1,868 KRW
- 전략: 분할 환전·선물환 헤지·옵션 활용
빠른 정보와 실시간 경제 지표(SNB 정책 발표, 글로벌 지정학 뉴스 등)를 바탕으로 현명한 투자·환전 전략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환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달러 급락과 원달러 환율 분석 및 전망 (2) | 2025.04.21 |
---|---|
2025년 한국 기준금리 인하와 원달러 환율 분석 및 전망 (0) | 2025.04.16 |
유럽 방위비 확대와 유로화 환율 역대 최고치 경신 (2) | 2025.04.15 |
2025년 관세 유예 조치와 뉴질랜드 달러 환율 분석 (0) | 2025.04.11 |
2025년 한국 원화 약세와 글로벌 환율 변동 심층 분석, 원인·영향·대응 전략 (0) | 2025.04.09 |